상품테스트
휴대용 빔프로젝터 7종 비교,
영상·음향품질 등 성능 차이 있어
최근 캠핑, 피크닉 등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배터리를 장착해 휴대성을 강조한 빔프로젝터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시중에 여러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구매·선택에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제품 간 품질비교 정보는 부족한 실정인데요.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주요 브랜드의 휴대용 빔프로젝터 7개 제품을 시험·평가하였습니다.
최근 2년 이내에 휴대용 빔프로젝터를 구입 및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 대상(한국소비자원, 2023.1.)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출력해상도 Full HD(1920 x 1080), 내장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로 작동 가능한 제품 7종을 선정.
영상품질, 제품 간 차이 있을까?
4개 제품, 상대적으로 영상품질 ‘우수’
명암비·색정확성·색재현성·밝기균일성의 시험결과를 종합하여 평가한 결과, 벤큐(GS50)·삼성전자(SP-LSBP3LAXKR)·샤오미(M055MGN)·LG전자(PF50KA) 등 4개 제품의 영상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뷰소닉(M2e)·제우스(ZeusA1000N) ·프로젝터매니아(PJM-MINI9) 등 3개 제품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밝기, 제품별 차이 있을까?
제품 간 최대 2.6배 차이 있어
프로젝터의 밝기는 높을수록 주변이 밝은 공간에서도 화면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시험평가 결과, 샤오미(M055MGN) 제품이 388안시루멘*으로 가장 밝았고, 프로젝터매니아(PJM-MINI9) 제품은 152안시루멘 수준으로 제품 간 최대 2.6배 차이가 있었습니다.
현재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인정되는 프로젝터의 밝기 표시 단위로, 화면을 9분할해
9개 측정점의 평균조도(lx)와 투사면적(m2)을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시루멘]으로 단위를 표시합니다.
브랜드 | 모델명 | 밝기 | |||
---|---|---|---|---|---|
표시값 주1 | 실측값[안시루멘] 주2 | ||||
안시루멘 | LED루멘 | 기본모드 | 최대밝기모드 | ||
벤큐 | GS50 | 500 | - | 333 | 504 |
뷰소닉 | M2e | - | 1000 | 349 | 353 |
삼성전자 | SP-LSBP3LAXKR | - | 550 | 237 | -주2 |
샤오미 | M055MGN | 500 | - | 388 | 517 |
LG전자 | PF50KA | 600 | - | 190 | -주2 |
제우스 | ZeusA1000N | 1000 | - | 155 | -주2 |
프로젝터매니아 | PJM-MINI9 | 700 | - | 152 | -주2 |
업체별로 밝기 표시값 단위를 [안시루멘] 또는 [LED루멘]으로 표시하고 있음.
기본모드는 제품 초기 작동 시 기본으로 설정된 모드이며, 별도의 최대밝기모드가 있는 제품은 해당 모드로 설정하고 측정하여 표시값과 비교함.
원음을 왜곡 없이 들려주는가?
음향품질은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원음을 왜곡 없이 재생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는 음향품질 시험평가* 결과, 벤큐(GS50)·삼성전자(SP-LSBP3LAXKR) 제품은 상대적으로 ‘우수’, 뷰소닉(M2e)·샤오미(M055MGN) 등 2개 제품은 ‘양호’, LG전자(PF50KA)·제우스(ZeusA1000N)·프로젝터매니아(PJM-MINI9) 등 3개 제품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어 제품 간 성능 차이가 있었습니다.
주파수응답, 유효주파수 비율, 총고조파왜곡률을 종합하여 평가함.
제품 작동 시 소음은 없는가?
소음은 36㏈~43㏈ 수준으로 제품 간 차이 있어
제품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36㏈~43㏈ 수준으로 제품 간에 차이가 있었는데요. 삼성전자(SP-LSBP3LAXKR)·제우스(ZeusA1000N)·프로젝터매니아(PJM-MINI9)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었습니다.
배터리 사용시간, 충분할까?
약 1시간 30분 ~ 3시간 수준으로 제품 간 차이 있어
외부 전원(220V)을 공급하지 않고 내장 또는 전용 보조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을 확인한 결과, 기본모드에서는 약 1시간 30분~3시간, 저전력 모드에서는 약 2시간 15분~3시간 수준으로 제품 간에 차이가 있었는데요. 그 중 외부 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고, 별도의 저전력모드가 없는 삼성전자(SP-LSBP3LAXKR) 제품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약 3시간으로 가장 길었습니다.
브랜드 | 모델명 | 배터리 사용시간 | 배터리 형태 | |
---|---|---|---|---|
기본모드 [시간:분] | 저전력모드 [시간:분] | |||
벤큐 | GS50 | 1:31 | 2:40 | 내장 |
뷰소닉 | M2e | -주1 | 2:15 | 외장(전용) |
삼성전자 | SP-LSBP3LAXKR | 3:03주2 | 외장(전용) | |
샤오미 | M055MGN | 측정불가주3 | 외장(전용) | |
LG전자 | PF50KA | 1:50 | 2:35 | 내장 |
제우스 | ZeusA1000N | 1:47 | 3:01 | 내장 |
프로젝터매니아 | PJM-MINI9 | 1:46 | 3:01 | 내장 |
보조배터리로 작동 시 저전력모드로만 작동함.
별도의 저전력모드 없음.
보조배터리로 작동 시 꺼짐현상 발생으로 측정불가.
해당 내용을 카드뉴스로 보시려면 '소비자24'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단백질 보충 일반식품,
제품별 단백질 함량 차이 커
캡슐커피머신 10종 비교,
품질·캡슐 호환성 등 차이 있어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별 유산균 수와 종류 차이 있어
어린이용 킥보드,
제품별 내구성에 차이 있어
일부 리사이클 나일론 백팩,
재활용 소재 혼용률 표기 부정확해
매일 쓰는 ‘프라이팬’
안심하고 사용해도 될까?
간편 가정식 ‘냉동볶음밥’
한 끼 식사로 영양 다소 부족
핸드크림 10종 비교,
보습 유지성능, 사용감 차이 있어
다회용 키친타월 14종 비교,
흡수성·내구성 등 품질 차이 있어
프랜차이즈 치킨 1마리 열량,
1일 섭취기준 보다 최대 1.5배 높아
지금 소비자시대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